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달라지는 제도 top3/ 주휴수당 폐지?? / 2023년 최저시급

by sothisislove0907 2023. 1. 4.
728x90

 

 

벌써 2022년이 지나고 2023년 계묘년이 되었습니다.

매년 새해가 되면 법과 제도들이 새롭게 개선되죠!

그럼 검은 토끼의 해, 2023년에는 어떤 것들이 달라졌을까요? 

같이 알아보아요!

 

2023달라지는 점과제도 표지

 

 


 

2023년 달라지는 제도

 

만 나이 통일법

 

제가 소개할 2023년 달라지는 제도 첫 번째는, 만 나이 통일입니다.

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도입이 시행될 예정인데요.

'만 나이'는 출생 직후 0살에서 시작하여, 생년월일 기준으로 1년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이 전에는 출생 직후 1살에서 시작해서 1월 1일 기준으로 다 같이 나이가 들게 되는,

이른바 '세는 나이'와 또는 '한국식 나이'와 '만 나이' 등 여러 나이 계산법 덕분에 혼란이 가중되었죠.

하지만 2023년부터는 만 나이만 챙기면 되니 한층 마음이 가벼워지네요.

그리고 많게는 2살부터 최소 1살씩 어려진다는 점은 30대를 앞둔 제게 너무나도 큰 희소식인 거죠.

 

 

 

 

소비기한 표시제

2023년 달라지는 제도 두 번째는, 소비기한 표시제입니다.

소비기한은 섭취해도 안전한 기한을 뜻합니다.

지금까지는 소비기한이 적혀있지 않아서 유통기한=소비기한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소비기한은 제품에 따라 최대 35일까지 연장되면서,

이 제도로 인해 무분별하게 버려지던 식품들이 조금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공공요금인상

2023년 달라지는 제도 세 번째는, 공공요금 인상입니다.

전국 17개 시도는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결정했거나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해요.

특히 서울은 택시 기본요금이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인상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하철, 각종 버스 요금도 4월부터는 300원씩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경기도도 마찬가지로 요금을 인상하는 방향으로 잡았다고 하는데요.

아마 서울과 비슷한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

그 외에 대구, 울산에서도 택시기본요금을 올리기로 했고,

대전도 상반기 중 인상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이 외에도 상하수도 요금을 올리는 시도도 많다고 하네요.

서울은 1월부터 가정용을 비롯해서 상수도 요금을 올릴 계획이며,

인천, 울산, 대전, 세종 등도 상수도나 하수도 요금 인상이 예정되어있다고 하네요.

그 외의 지역에서도 요금 인상 계획이 잡혀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도내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을 인상하는 지역도 있다고 해요.

물가 상승률 자체도 높은 수준에 대중교통요금, 상하수도 요금 까지도 오른다고 하니,

우리 국민들이 체감하는 요금 인상에 대한 부담감이 더욱 높아지겠네요.

 

 

 

 


 

 

 

주휴수당 폐지 확정????

 

이 외에 주휴수당 제도 폐지가 권고안에 포함되어 발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쏟아졌는데요.

 

주휴수당 뜻 / 주휴수당이란 무엇일까요?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일주일에 하루 유급휴일을 주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 계산은 1일 소정근로시간에 시급을 곱하면 된다.

 

이 주휴수당이 폐지가 된다면, 많은 직장인들의 월급에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영업자, 소상공인 vs 직장인들의 싸움이라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아직 권고안 발표고, 주휴수당 폐지가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정말 민감한 문제이기에...

정부에서도 이러한 부정적인 여론이 계속된다면 강하게 몰아붙이기 어렵지 않을까 싶어요.

 

 

 

 

 

2023년 최저임금

그럼 2023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요?

2021년도부터 2023년도까지 최저시급 비교해서 알아보아요!

구분 시급 월급
2023년 9,620원 / 2022 대비 5.0% 인상 2,010,580원
2022년 9,160원 / 2021 대비 5.0% 인상 1,914,440원
2021년 8,720원 / 2020 대비 1.5% 인상 1,822,480원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2022년 대비 5프로 인상이 되었다고 하네요.

드디어 최저시급 대비 월급이 이백만 원을 넘어서게 되었네요.

 

 

 

 


 

 

 

이렇게 2023년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버티고 버티다 보면 언젠간 이 힘든 시기도 지나갈 것이라고 믿으며,

모두 힘내세요!!!!

 

 

728x90

댓글